스위치를 이중화 구조로 구성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루프를 방지해주는 프로토콜이다. 목적지로 향하는 경로가 2가지 이상이 있는 경우 하나의 경로를 차단하고 하나의 경로만 사용하게 하여 프레임이 중복 생성되어 루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STP 구성요소BPDU (Bridge Protocol Data Unit) : 스위치 간 STP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2초 간격으로 전송한다.Root Bridge : 가상 상위에 있는 스위치로, 내부 네트워크의 모든 프레임이 루트 브릿지를 거친다.BDI (Bridge ID): 스위치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고유 ID로 Priority와 MAC Address를 조합해서 구성된다.Root Port : Non-Root 브릿지에서 Root 브릿지로 가는..
CS Fundamentals/Network
Cisco Network Switch, Router 장비 대상으로 기본 설정 방법 정리관리자 모드 변경> enable# 설정 변경 모드# configure terminal(config)# Hostname 변경(config)#hostname RT01RT01 (config)# Banner 설정Router(config)#banner login *warning*Switch(config)#banner motd *warning* 접속 계정 설정관리자 모드 변경 패스워드 설정(config)#enable password cisco(config)#enable password password-encryption로컬 로그인 Database에 유저 정보 입력 (config)#username admin password cisc..
L2 계층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비까지 MAC Address를 이용해 Frame을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Router vs Switch 차이점목적지로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하는 주소가 다르다. Router는 IP Address, Switch는 MAC Address를 사용한다.Router는 Table에 기록된 IP 주소 정보가 없다면 폐기하고, Switch는 ARP를 이용해 확인 후 목적지로 전달한다.Router는 Routing Algorithm을 사용하고, Switch는 Spanning Tree Algorithm을 사용한다. Frame Header 구조SyntaxSemanticSizeDestination MAC Address목적지 MAC 주소6 BytesSource MAC Address출발지..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계층화 모델 2가지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다.Network Protocol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가 상호 협의되어 있어야 한다.무엇(주제)을 통신할 것인지 상호 협약이 되어 있어야 한다.어떻게(수단) 통신할 것인지 상호 협약이 되어 있어야 한다.언제(시간) 통신할 것인지 상호 협약이 되어 있어야 한다.Protocol 이란 무엇을(데이터 형식), 어떻게(전송 방식), 언제(타이밍, 순서) 통신할 것인지 정의한 규칙과 절차의 집합이다. Network Layering통신에 사용되는 Protocol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계층화 한 다음 계층 별로 Protocol을 정의하게 되었다. 이 때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특정..